과학뉴스

과학뉴스

원자력

Home 과학뉴스 원자력

[단독] 갈길 먼 탄소중립 핵심기술, 24개기술 중 고작 1개 개발(매일경제)

  • 관리자 (applenet)
  • 2021-10-01 17:24:00
  • hit377
  • vote0
  • 121.131.212.13
오찬종 기자 
입력 2021/09/29 17:12 
 수정 2021/09/29 21:21
2050 시나리오 과제 분석  ESS 관련 한 건만 상용화  15개는 선진국의 60% 수준
정부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만들면서 이를 위한 필요조건으로 꼽은 24개 신재생에너지 핵심 기술 중 선진국 수준의 상용화급 기술은 한 건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24건 중 절반은 개발 계획조차 없는 상태로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제대로 된 기술을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공급만 밀어붙일 경우 비용 부담과 전력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29일 탄소중립위원회에 따르면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수립을 위해 재생에너지 정밀 예측·제어, 수소터빈 개발 등 5개 부문 24건 세부 과제를 필수기술로 선정했다. 양금희 국민의힘 의원실은 이 24건 기술을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 의뢰해 국산화율과 상용화율을 분석했다. 

그 결과 상용화가 이뤄진 것은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 한 건에 불과했다. 특히 24개 기술 중 동북아시아 슈퍼그리드 구축 등 15개 기술은 국내 수준이 유럽 등 선진국의 6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선진국의 90%대 수준을 갖춘 기술은 설비 과부화 관련 2건밖에 없었다. 정부는 2050년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으니 자연스럽게 개발이 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전력 업계는 개발 계획조차 없는 기술을 근거로 에너지 정책을 뿌리부터 바꾸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특히 전력망 안정화 장치인 동기조상기 활용 기술 등 전체 필요 기술 중 절반인 12건은 개발을 위한 계획조차 잡지 못하고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

유연성 중형급 가스터빈 개발의 경우에는 지난달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으나 불수용되면서 좌초됐다. 그나마 개발 계획이 있다고 하더라도 상당수가 구체성이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 업계는 이 같은 '묻지마'식 재생에너지 공급이 확대되면 부작용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전이 지난 7월 자체적으로 작성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해결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전력망에 연결하는 그리드 비용만 17조원이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지하로 구축하는 방식의 경우 이 비용은 56조원으로 늘어나게 된다고 전망했다.  ///
 
게시글 공유 URL복사
댓글[0]

열기 닫기

사단법인 사실과 과학 네트웍

대표: 최영대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259 (갈월동) 고려에이트리움 1116호

고객센터: 02-794-0815

사업자등록번호: 414-82-02708